

탈석탄을 선언하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어 충남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이 이를 규탄하고 나섰다.
6월 4일 오전 11시, 국민연금 예상홍성지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연금은 말로만 탈석탄 선언하지 말고 석탄발전에 대한 투자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세계의 기후위기 대응 추세에 맞춰 국민연금도 2021년 5월 28일 탈석탄 선언을 했지만 3년이 지난 지금까지 어떤 기준에 따라 투자를 제한할 것인지 전략을 밝히지도 않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석탄투자제한 기준에 대한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최종보고까지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연금이 탈석탄 선언에 대한 이행을 미루는 사이 오히려 석탄 자산이 13조원이나 크게 증가했다”며 “국민연금의 석탄 투자 지속은 투자의 위험성 뿐 아니라 국민 건강에도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특히 문제가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핀란드의 대기 환경 연구단체인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와 기후솔루션의 지난해 연구에 의하면, 국민연금이 탈석탄 선언을 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한 석탄 발전에 대한 투자로 인한 건강영향을 평가한 결과, 석탄발전소가 위치한 지역 주변의 주민일수록 더 큰 고통을 받게 되고 발전 용량이 큰 발전소일수록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나 태안화력, 당진화력 인근의 조기사망자가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며 “충남도민이 낸 국민연금이 도민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쓰이지 못할 망정 석탄발전 투자로 도민의 건강을 위협해 오고 있었다”며 “국민연금은 더이상 충남도민을 기만하지 말고 석탄발전에 대한 투자를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충남환경운동연합 손창원 공동대표는 “공적 기금으로서 국민연금의 사회적 책임에 충실해야 할 것”이며 “국민연금은 국민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기금이 운용되어야 하는 만큼 그 동안 석탄발전으로 인해 건강상 피해를 받아온 충남도민의 미래를 위해서도 책임 있게 투자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