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이장 장기집권 강행에 주민 불만 극에 달해

발전소 주변 마을들은 보령화력으로부터 한해 4000~6000여만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지원받고 있어 항상 마을의 자금이 지출될때마다 이권이 개입됨에 따라 주민간의 설전이 오가고 있다.
마을 이장들은 이 자금을 마을 회의를 통해 공공사업과 농기계 등을 구입하여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지만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날을 세우고 있다.
각 마을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주민이 구입한 기계대금의 40%~60%를 마을 발전기금으로 대체하고 있지만 문제는 기계구입 과정 등이 투명하지 않다며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실제로 주민A씨(보령시 주교면 주교 2리)는 "농산물 건조기를 마을이장이 선택한 업체에서 335만원에 구입했는데 옆 마을에 살고 있는 한 지인은 동일회사 동일기종을 280만원에 구입했다"면서 "동일회사 동일기종에 대해 55만원씩이나 차이가 나는 것은 도저히 이해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그는 또 "예전에는 마을이장을 하라고 하면 바쁘다는 핑계로 마다하던 사람이 최근에는 이장자리에 한번 앉으면 무슨 이유인지 내려놓지 않고 있어 마을 주민 투표까지 이어져 민심을 흐리고 있다"며 혀를 찼다.
또 다른 한 주민은 "마을에서 덕망 있고 신망이 두터운 인물에 대해 주민들의 추대로 이장이 선출되던 시절이 그립다" 며 "이 같은 작은 일로 인해 행정의 최 일선에서 일하는 이장들이 불신이라는 도마 위에 오르는 모습이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보령화력은 발전소 주변 5km이내 환경피해 마을에 대한 지역발전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사용처마다 꼬리를 물고 있어 각 마을 이장들에 대한 주민들의 경계령이 내려진 가운데 마을 이장들이 투명한 회계처리를 통해 불신 받는 일이 없도록 강력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