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의원선거의 후보자 등록이 지난 3월 23일 마감됨에 따라 비례대표선거의 정당 기호와 지역구 후보자의 기호가 결정되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투표용지를 두장 받습니다. 연두색 투표용지에는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선출할 정당에 투표하고 흰색 투표용지에는 지지하는 지역구 후보자에 투표합니다.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투표용지에는 정당의 기호가 1번부터 20번까지 전국 어디나 같습니다. 그러나 지역구국회의원선거 투표용지에는 후보자의 기호가 1번부터 5번까지는 전국적으로 통일되지만 6번부터는 정당의 지역구후보자 추천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유권자 여러분께서는 투표하실 때는 기호 이외에도 정당 명칭과 후보자의 성명을 함께 확인하시고 정확히 기표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이번 호에서는 정당과 후보자의 기호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비례대표선거의 정당기호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국회 의석수와 정당 명칭의 가나다순으로 결정됩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20개 정당이 비례대표 후보 등록을 하였습니다. 이들 정당의 기호는 우선 국회 다수의석순에 따라 1번 새누리당, 2번 민주통합당, 3번 자유선진당, 4번 통합진보당, 5번 창조한국당, 6번 국민생각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의석이 없는 정당은 정당 명칭의 가·나·다 순에 의하여 7번 가자! 대국민중심당, 8번 국가재건친박연합(약칭:친박연합), 9번 국민행복당, 10번 기독 자유민주당(약칭:기독당), 11번 녹색당, 12번 대한국당, 13번 미래연합, 14번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약칭:불교연합당), 15번 정통민주당, 16번 진보신당, 17번 청년당, 18번 한국기독당, 19번 한국문화예술당, 20번 한나라당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지역구후보자의 기호는 정당추천 후보자와 무소속후보자 순으로 결정됩니다.
지역구 후보자는 국회 의석을 가진 정당의 추천을 받은 후보자, 의석이 없는 정당의 추천을 받은 후보자, 무소속후보자의 순으로 기호가 결정됩니다.
우선 일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정당(국회 지역구 의석 5석 이상 보유, 직전 대선․비례대표선거에서 1/3이상 유효 득표)추천 지역구후보자에게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부여합니다. 따라서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자유선진당, 통합진보당, 창조한국당의 후보자는 순서대로 1․2․3․4․5번의 기호를 사용합니다. 위의 정당이 지역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은 경우 그 정당은 투표용지에 게재하지 않으므로 1번부터 5번 중에는 결번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후보자는 비례대표 정당의 기호와 관계없이 국회의석 순에 의하여, 국회에 의석이 없는 정당은 정당 명칭의 가나다 순으로, 무소속 후보자는 관할선관위에서 추첨하여 번호를 부여합니다. 그러므로 6번 이후는 같은 정당 추천 후보자라도 지역에 따라 기호가 다를 수 있으며, 비례대표와도 기호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