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고사성어▷은어·비어·속어▷관용구
▣외래어
6.곤조
본뜻은 본디. 일본말로서 좋지 않은 성격이나 마음보, 본색, 근성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바뀐 뜻은 나쁜 근성. 특수한 직업으로 인해 가지게 되는 성질, 성깔 등을 가리키는 비속어다 바꿔 쓸 수 있는 우리말로는 근성, 성깔 등이 있다
"보기글"
-그 사람, 뱃사람 특유의 곤조가 있긴 하지만 사람 하나는 틀림없다구(근성이 있긴 하지만)
-날 우습게 보는 모양인데 나도 곤조를 부렸다 하면 무서운 사람이야(성깔을 부렸다 하면)
7.넥타
본래의 뜻 넥타(nectar)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올림푸스 산의 신(神)들이 마시던 불로주를 가리키는 말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거의 '주스'와 같은 말로 쓰이고 있다
"보기글"
-병자에겐 사과 넥타가 괜찮지 않을까?
-저희 아버님은 인삼 넥타를 즐겨 드십니다
8.담배 한 보루
본뜻은 담배, 타바꼬(tabacco)라는 포르투칼어에서 온 말이고, 보루는 영어 'board'에서 나온 말이다 원래 board는 '판자'나 '마분지'를 가리키는 말인데 담배 열 갑을 마분지로 만든 딱딱한 사각 케이스에 담아서 판매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담배 한 보드'라는 말이 생겼다
그것이 발음 변이가 되면서 '담배 한 보루'로 굳어진 것이다
바뀐 뜻:담배 열 갑을 세는 단위다
"보기글"
-철수야, 가게 가서 담배 한 보루만 사 오너라
-외삼촌댁에 갈 때 담배 한 보루하고 과일하고 사 들고 가거라
9돈까스
본뜻:이것은 영어의 '포크 커틀릿(park cutlet)'에서 온 말이다 일본에서는 돼지고기를 뜻하는 '포크' 대신에 돼지 돈을 쓰고 거기에 커틀릿의 일본어 발음인 '까스레스'를 덧붙여'동까스'로 불렀다 그것이 우리 나라에 건너와 '동까스' '돈까스' 등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김치'를 'Korean salad'라고 부르지 않고 '김치'라고 부르듯이 '돈까스'도 원어 그대로 '포크 커틀릿'으로 불러 주어야 한다
바뀐 뜻:빵가루를 묻힌 돼지고기를 기름에 튀긴 간단한 서양식 요리의 이름이다
"보기글"
-돈까스는 가장 대중적인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엄마, 저 오늘 저녁에 돈까스 먹고 싶어요
10.히로뽕
본뜻:염산 메탄페타민의 상품 이름으로 공식 학명은 필로폰(philopon)이다 무색 결정체 또는 흰가루로서 냄새가 없다 뇌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어 각성제로 쓰이나 중독성이 있어 만성중톡, 전신쇠약, 불면, 식욕부진 및 정신 분열증을 나타낸다
히로뽕 외의 마약에는 양귀비에서 추출한 아편, 생아편에서 추출한 헤로인, 코카 나무에서 추출한 코카인 등이 있는데 가장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이 히로뽕으로 필로폰의 일본식 발음이다
바뀐 뜻:보통 마약의 대명사로 쓰이고 있는 히로뽕은 본래 필로폰이라는 화학약품의 이름이다
요즘은 언론 매체에서도 필로폰이란 공식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보기글"
-아편, 히로뽕, 필로폰, 코카인, 헤로인을 다들 마약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다른지 잘 모르겠다.
-히로뽕하고 필로폰이 같은 말이냐? 이제까지 전혀 다른 말인 줄 알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