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이는 우리말❼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이는 우리말❼
  • 김채수 기자
  • 승인 2025.11.08 2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합성어▷외래어▷한자어·일본식 한자어▷순우리말
▷사자성어·고사성어▷은어·비어·속어▷관용구

 

▣외래어

1.X세대

캐나다 작가 더글러스 쿠프랜스가 1968년을 전후해서 태어난 신세대를 가리켜 처음 사용한 용어다

그에 따르면 X세대란 부모가 이룩해 놓은 복지 상태에 이르는 것을 포기한 첫 세대라고 한다. 그들은 모든 호화로운 것을 거부하며 최소한의 환경에서 자신의 삶을 꾸려 가고자 하며, 사회와 기성세대에게 도덕성과 공정성을 강력하게 요구한다.

1980년대에 몰아닥친 불경기가 그들의 미래를 박탈하였고, 그런 미래에 대한 공포와 불안으로 가득한 잊혀진 세대라는 뜻이다.

따라서 그들은 무조건 현실에 반항하는 반항파들이 아니며 그러한 현실에 적응하되 행복 추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단지 모든 것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해결하려 든다.

그런 성향이 그들의 삶에도 반영되어 어떤 일에서든지 필요 이상이 노력을 하려고 들지 않는 것이 바로 X세대이다

광고나 신세대를 다루는 기사에서 주로 쓰고 있는 X세대라는 용어는 위에서 설명한 본뜻의 일부분만 차용하고 있다. 그 때문이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X세대의 개념은 반항적이고, 제멋대로이고, 주위 눈치를 안보는 개성파들이고, 뭔가 튀는 세대라는 뜻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X세대는 현실을 거부하거나 현실에 반항하지 않고 자신을 드러내기 위한 독특함을 추구하지도 않고 자신이 서 있는 현실 세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거기에 지극히 현실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세대들이다.

2.유토피아

이상향을 가리키는 유토피아는 그리스어 오우(ou)와 톱포스(toppos)의 합성어다. 오우는 '없다'는 뜻이고 톱포스는 '장소, 공간'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유토피아란 '없는 장소,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나타내는 말이다

영국의 정치가 토마스 모어가 자신이 쓴 정치 공상 소설의 제목을 '유토피아'로 붙였는데, 여기서 유토피아는 이상적인 국가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 이후로 유토피아는 이상향, 이상 국가를 뜻하는 말이 되었다

예시-신혼부부들의 유토피아인 제주도에서 인생을 설계하세요.

-내 마음속의 유토피아를 찾아 떠나는 여행은 언제나 설레이기만 한다.

3.아나고

뱀장어와 비슷하게 생긴 '붕장어'를 가리키는 일본말로 횟감으로 많이 쓰인다. 몸 길이 60센티미터 이상의 뱀장어와 비슷하게 생긴 바닷고기로, 주둥이와 입이 크고 이가 날카롭게 생겼다. 맛이 부드럽고 좋아 횟감으로 많이 쓰인다

아나고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리는데 우리말 이름 '붕장어'라는 이름으로 바꿔 부르도록 해야 한다

예시-생선회중에서는 아나고회가 서민적인 회라고 할 수 있다.

4.마호병

'마호'라는 말은 '마법'을 뜻하는 일본어이다 마호병이란 곧 '마법의 병'이란 뜻인데, 오랫동안 보온이 된다는 사실이 신기하여 '마법의 병'이란 이름이 붙은 것이다

예시-영희야 이젠 마호병이 아니라 보온병이라고 하거라.

5.단도리

준비, 채비를 뜻하는 말로 일본어에서 온 말이다 한자로 단취(斷取)라고 쓴다

'준비를 하다, 채비를 하다'로 쓰거나 '마무리를 하다'는 뜻으로도 곧잘 쓰인다

예시-학교 가기 전에 집안일을 단도리 하고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