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사라진 남한… 담비가 ‘동물의 왕’
호랑이 사라진 남한… 담비가 ‘동물의 왕’
  • 보령뉴스
  • 승인 2013.01.14 10:17
  • 댓글 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멧돼지-고라니 잡아먹어… 야생 최상위 포식자 올라

다 커도 길이가 55cm, 몸무게는 3kg밖에 되지 않는 담비(멸종위기Ⅱ급·사진)가 남한 야생에서 자취를 감춘 호랑이 대신 '동물의 왕' 자리에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4년간 담비의 배설물 414점을 통해 담비의 먹이를 분석한 결과 잡식성인 담비가 남한 야생에서 최상위 포식자의 입지를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배설물 분석에 따르면 보통 3마리씩 무리를 지어 다니는 담비의 먹이 중 8.5%는 멧돼지 고라니 등 대형 포유류였다. 단일종으로는 청설모가 5.7%로 가장 많았다. 담비 한 무리는 연간 평균 고라니와 멧돼지를 합쳐 9마리, 청설모 75마리를 잡아먹었다. 먹이 구성을 보면 대형 포유류를 포함해 쥐, 말벌 등 동물성 먹이가 50.6%였으며 다래, 버찌, 머루 등 식물성 먹이는 49.4%였다.

환경과학원 측은 "체구가 작은 담비는 다른 맹수와 달리 3마리가량이 무리를 지어 역할을 분담해 공격하기 때문에 대형 포유류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담비의 행동반경은 멧돼지(5.1km²), 삵(3.7km²), 오소리(1.2km²) 등에 비해 10∼20배 넓은 22.3∼59.1km²에 달해 생태계 우산종(Umbrella Species)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산종은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 중 행동권이 넓은 종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들의 서식지를 보호하면 같은 서식지에 있는 다른 종들도 함께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종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담비는 고라니, 노루는 물론 심지어 멧돼지까지 잡아먹는 것으로 확인되므로써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동물들을 사냥하면서 담비가 생태계 조정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환경과학원은 "현재 국내에 담비 2000여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