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이는 우리말❻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이는 우리말❻
  • 김채수 기자
  • 승인 2025.11.02 15: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합성어▷외래어▷한자어·일본식한자어▷순우리말
▷사자성어·고사성어▷은어·비어·속어▷관용구

▣합성어

31.근사하다

거의 같다, 비슷하다는 뜻이다

본뜻과는 전혀 다른 뜻으로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말로서, 주로 어떤 사물의 모양이 보기 좋거나 훌륭할 때 칭찬이나 감탄의 뜻으로 쓰는 말이다

예시- 그렇게 차려입고 나서니까 아주 근사하다!

32.악착같다

'악착(齷齪)'의 본뜻은 작은 이가 꽉 맞물린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다 즉, 이를 앙다문 상태를 말한다.

어떤 일에 기를 쓰고 덤벼들거나 끈기 있고 모질게 달려들어 해내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예시-어떤 일을 성사시키려면 악착같이 달려들어서 해야 성공한다.

33.기절하다

몸 속을 흐르는 기가 어느 한 순간, 갑자기 그 흐름이 막히면서 끊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공포, 두려움, 놀람, 슬픔 때문에 한때 정신을 잃고 숨이 막히는 상태를 표현하는 말이다

예시- 깜깜한 밤길을 혼자 걷는 영희는 풀섶에서 개구리만 튀어나와도 기절할 듯이 자지러졌다

34.선보다

글자 그대로 '먼저 본다'는 뜻이다 옛날에 혼인하기에 앞서 양가 부모들이 먼저 신랑, 신부될 사람의 인물됨을 살펴보았던 데서 유래한다

지금은 혼인 당사자들끼리 가까운 친척이나 어른의 소개로 상대방을 첫 대면 하는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35.기합 주다

글자 그대로 어떤 힘을 발휘하기 위한 정신과 힘의 집중을 얘기한다

주로 군대나 학교 같이 단체 생활을 하는 곳에서 규율이 잘 지켜지지 않을 때,

기가 흐트러졌다고 한다 그렇게 흩어진 기를 모으게 하여 정신과 행동의

규율을 되찾게 할 목적으로 체벌이나 벌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