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 전쟁’은 25일 ‘타협’으로 끝났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가 ‘4ㆍ13 총선을 앞두고 적전분열하는 최악의 상황만은 피하자’는 상황 인식을 공유한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양 진영 사이에는 회복하기 어려운 수준의 불신과 적대감이 쌓여 총선 과정이나 총선 직후 정면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그래도 당내에선 “이번엔 끝까지 버틸 것이다. 아니면 대선주자로선 끝”이라는 전망이 더 많았다. 그만큼 발언의 수위가 셌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론은 타협이었다. 4시간에 걸친 최고위원회의 결과 유승민 의원의 대구 동을과 이재오 의원의 서울 은평을, 유일호 경제부총리(불출마)의 전 지역구인 서울 송파을은 ‘무공천’하기로 결정했다.
반면 류성걸 의원의 대구 동갑, 이종진 의원(불출마)의 대구 달성, 주호영 의원의 수성을은 당초 공천관리위원회의 공천안을 추인했다. 이 지역에는 각각 ‘진박’ 정종섭 전 행정자치부 장관, 추경호 전 국무조정실장, 이인선 전 경북도 정무부지사의 공천이 확정됐다.
결국 김 대표와 친박계가 각각 반드시 지켜야 하는 핵심 지역을 받고 나머지는 내주는 식의 절충을 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김 대표는 애초부터 유승민ㆍ이재오 의원 지역구 등 당헌ㆍ당규 위배 정도가 커 논란이 거센 일부 지역에 대해선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 역시 ‘진박 중의 진박’이라는 정 전 장관과 추 전 실장의 공천은 지키게 됐다. 당 관계자는 “청와대의 면은 세운 셈”이라고 평했다.
이번 타협이 김 대표의 대권주자로서의 행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두곤 평가가 엇갈린다. 일단 ‘상향식 공천제’를 지키기 위해 할 만큼 했다는 인상을 주고, 청와대와 친박계를 향해선 “계속 끌려 다니지만은 않을 것”이란 일종의 경고를 줬다는 점에서 나름 선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대표는 그간 ‘상하이 개헌 봇물 발언’, ‘여의도연구원장 인선 갈등’, ‘유승민 정국’ 등 당ㆍ청 갈등 국면마다 번번이 굽히는 모습을 보여왔다.
더 길게는 총선 이후까지 내다 본 ‘한 수’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신의 우군인 비박계를 향해 “아직 나 살아있다”는 확신을 심어주면서도 비박계의 또 다른 두 축인 유승민ㆍ이재오 의원의 당 복귀 길까지 터줘 친박계를 견제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온통 유 의원의 생환 여부에 쏠렸던 매스컴의 관심을 자신에게 집중시키는 효과까지 얻었다. 비박계 관계자는 “유 의원에 대한 집요한 ‘보복공천’ 행위로 우려됐던 수도권 역풍까지 차단돼 총선에서도 선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신의 정치생명까지 걸었던 ‘100% 상향식 공천’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는 건 변함없는 사실이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공천 과정 전반에서 김 대표는 상황을 완전히 장악한다거나 주도하기보다는 수세적인 모습을 더 많이 보였다”며 “이번 옥새 반란으로 대선주자 자질에 대한 의구심을 완전히 씻어내진 못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