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범(27·한국마사회)이 금메달을 따고 상기된 표정으로 기자회견을 하는 동안 정훈 국가대표 감독은 안쓰러런 눈초리로 김재범을 쳐다보고 있었다.
사실 김재범은 말 그대로 몸 반쪽으로 금메달을 땄다고 할 만큼 몸의 왼쪽은 부상 투성이다.
우선 왼쪽 무릎은 덜렁거린다고 표현할 만큼 비정상이다, 경기중 상대에게 다리기술이 걸리면 무릎이 치명적으로 부상을 입을 만큼 통증에 시달린다. 두 번째는 왼쪽 어깨. 지난 2007년 이후 고질적으로 이상이 있던 왼쪽 어깨는 지난해 말 제주에서 열린 코리아월드컵 국제유도대회에서 마침내 탈골됐다. 상대 업어치기를 방어하다가 왼팔로 착지했는데, 그것이 어깨 탈골로 이어졌다. 탈골뿐 아니라 어깨 인대까지 손상됐다. 설상가상으로 훈련 중에 왼쪽 팔꿈치가 고장났다.
런던 올림픽을 한 달 앞두고는 왼쪽 손가락 무명지 인대가 끊어졌다. 도복을 잡아 채는 유도이기에 손가락 마디마디 성치않다. 관절염 증세까지 있다.
그러나 김재범은 그런 몸으로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일반인 같으면 한 곳만 고장나도 병원 신세를 질 정도인데, 김재범은 강한 정신력과 집념으로 그렇게 성치 않은 몸을 갖고도 마침내 세계 정상에 올랐다.
김재범은 4년 전 못 이룬 올림픽 금메달을 위해 한 팔만을 쓰며 연습을 해왔다.
“한 팔로 유도한 지 오래됐다. 올림픽까지만 몸이 버텨주길 기도했다. 올림픽이 끝나면 수술해도 상관없다”며 주변의 병원행 권고를 그냥 삼켜 버렸다. 김재범은 오히려 “지금 부상당해 다행이다. 어깨를 조심하지 않았는데 미리 다쳐 올림픽에 나서기까지 더욱 조심할 수 있게 됐다. 액땜했다고 생각한다”며 통증을 견뎠다.
김재범은 4년 전 간 수치가 일반인보다 두 배 이상 높았지만 별다른 치료를 하지 않고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했다가 결국 체력이 고갈되며 은메달에 그쳤다. 그때부터 김재범은 건강 관리 중요성을 절실히 깨달았으나 계속된 부상은 쉽게 극복하기 어려웠다.
김재범은 그렇게 덜렁거리고 찢어지고 망가진 몸을 희생양으로 삼아 4년 전 꺽였던 꿈을 마침내 이뤘다. 김재범은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아침에 눈을 뜨니 몸 상태가 안 좋았다. 기도했다. 부러지고 다쳐도 좋으니 오늘만 잘하게 해달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