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차리는 방법, 식사는 1열, 디저트는 5열에
차례상 차리는 방법, 식사는 1열, 디저트는 5열에
  • 김미선 기자
  • 승인 2020.01.23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년 돌아오는 명절이지만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헷갈릴 때가 많다. 어릴 때부터 제사나 차례 지내는 것을 보고 자란 사람들은 어려울 것이 없겠지만 차례나 제사를 지낸 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들은 차례나 제사 지내는 방법에 대해 신경이 쓰이는 것이 사실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식사는 1열, 디저트는 5열에 놓는다. 

‘남의 제사에 감 놔라, 배 놔라’하지 않는 것이라고 옛 어른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제사나 차례는 각 지역이나 집안의 전통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 처음 제사나 차례를 지내는 집안이라면 가족들이 서로 제사에 대해 공부하고 상의하여 새로운 제사문화를 만들어가는 것도 좋다. 차례는 기본적인 원칙만 알면 어렵지 않게 차례를 지낼 수 있다.

<차례상 기본 배치>

차례상은 일반적으로 5열로 나눠 배치하며 일반적으로 북쪽에 신위를 놓는다. 신위 있는 곳이 1열이며 조상님이 앉아 계신 곳이라고 본다. 2열과 4열에 들어가는 적, 전들은 산, 들, 바다에서 나오는 재료를 사용한 음식들이다. 제사상을 차리면서 상 앞에 향로, 술잔, 퇴주그릇 등도 준비해 놓으며 상 위 밥 옆에 시접(수저그릇)도 준비해 놓는다.

▶상 앞에 향로, 술잔, 퇴주그릇 등을 준비해 놓으며 상 위 밥 옆에 시접(수저그릇)도 준비해 놓는다.

<차례상 차리는 순서>

차례상을 차릴 때는 신위의 맨 끝쪽인 5열부터 차린다. 5열에는 차가워도 되는 식품, 즉 디저트나 후식이 자리잡고 있다. 5열의 후식 등의 찬 음식부터 시작하여 1열의 따뜻한 음식을 맨 나중에 차린다.

5열에는 우리가 식사 후 디저트를 먹는 것처럼 대추, 밤, 배, 사과, 곶감, 약과, 강정, 등 디저트나 후식 성격의 음식을 놓는다.

4열에는 식혜와 삼색나물, 반찬류, 포 등을 놓는다.

3열에는 육탕(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등의 탕류를 놓는다.

2열에는 육전(고기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두부전), 어적(조기 등), 어전(생선전) 등의 전, 적을 놓는다.

1열에는 밥, 국, 떡국 등 식사류를 놓는다.

<차례상 음식 자리 배치>

신위 있는 쪽이 북쪽이다.

5열은 ‘홍동백서’로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 이것은 동쪽은 해가 솟는 곳으로 소생과 부흥을 의미해 머리를 동쪽으로 두는 것이며, 해가 지는서쪽은 암흑과 소멸을 상징해 꼬리를 서쪽으로 놓는다. 또한‘조율이시’로 왼쪽부터 조(대추), 율(밤), 이(배), 시(곶감 또는 감)을 놓는다. 대추는 씨가 하나이므로 임금을 뜻하며, 밤은 한 송이에 3톨이 들어 있으므로 3정승을, 배는 씨가 5개 있어 6조 판서를, 감은 씨가 8개 있으므로 우리나라 8도를 상징한다고 한다.

4열은 ‘좌포우혜’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다. 4열에는 시금치나물(초록색), 고사리 나물, 숙주나물, 무 나물(흰색), 고사리(갈색) 등의 삼색나물과 포, 식혜 등이 올라가는데 포는 왼쪽에 식혜 등은 오른쪽에 놓는다. 포는 ‘동두서미’로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가게 하고 꼬리는 서쪽으로 가게 한다.

3열은 육탕(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등의 탕류를 놓는다.

2열은 ‘어동육서’로 어류(생선)는 동쪽에 육류(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2열에는 육류, 두부류, 생선류 등 세 가지의 적과 전을 놓으며, 종류는 육전(고기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두부전), 어적(조기 등), 어전(생선전) 등이다.

1열에는 ‘반서갱동’으로 상을 차리는 사람이 봤을 때 밥(반)은 서쪽(오른쪽)에 놓고, 국(갱)은 동쪽(왼쪽), 시접(수저그룻)은 가운데 놓아야 한다. 음양의 원리에 따라 죽은 사람은 산 사람과 반대로 한다. 설에는 떡국이 올라간다. 또한 1열에 조상님께 올리는 술잔도 놓는다.

▶설 차례상 음식 자리배치

 

<차례상 준비 시 유의할 점>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으며,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도 사용하지 않는다. 떡 종류에는 붉은 팥고물 대신 흰 고물을 쓴다. 설날에는 떡국이나 만두 등을 올리기도 하며 추석에는 송편과 햇과일, 토란탕이 추가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