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여객선 적자 5년 사이에만 2천억원↑, 여객선의 17.5%는 선령 20년 이상
연안여객선 적자 5년 사이에만 2천억원↑, 여객선의 17.5%는 선령 20년 이상
  • 방덕규 발행인
  • 승인 2023.10.02 0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17~2021년 사이 연안여객선 총 적자 2,021억원, 적자항로만 55개

전체 연안여객선 154척 중 27척은 선령 20년 이상.. 25년 넘은 배도 8척

어기구 의원, “도서지역 주민의 유일한 이동수단.. 지원책 마련 필요”

 

연안여객선 적자 5년 사이에만 2천억원,

더불어민주당 어기구의원

 

 

도서지역 주민들의 소중한 발이 되어주고 있는 연안여객선 적자가 5년 사이에만 2천억원에 달하며, 연안여객선의 17.5%20년 이상으로 노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해양수산부 및 한국해운조합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2021(2022년 통계 미집계) 사이 연안여객선 총적자액은 2,0214,900만원에 달했다. 또한 현재 연안여객선 154척 중 27척이 선령 20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노후된 여객선이 17.5%의 비중을 차지했다.

 

연안여객선은 도서지역 주민의 중요한 이동수단이자 물류운송 수단, 주요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 8월말 기준으로 55개 선사에서 전국 103개 항로를 운영하고 있고, 연 이용객은 지난해에만 1,399만명에 달한다.

 

하지만 연안여객선의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총적자액은 20171233,700만원에서 20216018,800만원으로 4.88배가 늘었으며, 2021년 적자항로는 55개로 전체항로의 절반 이상이 적자를 보고있는 상황이었다. 더하여 연안여객선 전체 154척 중 27척이 선령 20년 이상으로 노후화한 상황이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사업 채산성이 낮아 민간운영사가 운영을 기피하는 27개 항로를 국가보조항로로 지정해 운항결손액으로 지난 5(2018~2022)사이 6785,200만원을 지원했다. 또한 연안여객선 현대화계획을 2021년부터 추진해 지난해까지 25척의 노후선박을 대채했고, 올해 7척을 더 대체할 예정이다.

 

어기구 의원은적자가 지속된다면 도서지역 주민의 유일한 이동수단인 연안여객선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우려가 크다, “안전을 위한 현대화와 더불어 연안여객선 사업이 고사하지 않도록 국가보조항로 확대 등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22년 자료는 한국해운조합에서 내항여객운송사업자 대상 자료 취합 중(10월 이후 확정)

 

연도별 여객선사() 등 연안여객선 운영 현황(2017~2022)

구분

여객선사()

연간 이용객()

전체항로()

국가보조항로()

총 매출액*(천원)

2017

58

16,909,861

107

27

366,073,993

2018

58

14,625,484

100

27

330,966,577

2019

58

14,585,137

100

27

326,039,959

2020

58

10,602,840

104

27

265,418,583

2021

59

11,464,345

104

27

314,877,280

2022

62

13,991,454

101

27

-

* 총 매출액 자료제공 : 한국해운조합

 

총 흑자액, 적자액, 국가보조항로 예·결산액(2017~2022)

구분

총 흑자액

(백만원)

총 적자액

(백만원)

국가보조항로 예/결산액(백만원)

2017

56,092

-12,370

11,741 / 11,741

2018

29,836

-33,609

12,287 / 12,287

2019

25,782

-49,538

12,515 / 12,515

2020

15,921

-46,444

13,923 / 13,923

2021

22,074

-60,188

13,729 / 13,729

2022

-

-

13,231 / 15,398

(2017~2021)

149,705

-202,149

-

* 총 흑자 및 적자액 자료제공 : 한국해운조합

 

선령별 연안여객선 현황(2023. 8월말 기준)

선령 기준

여객선 척수

0~5년 미만

25

5~10년 미만

58

10~15년 미만

19

15~20년 미만

25

20~25년 미만

19

25년 이상

8

합계

154

 

연안여객선 흑자/적자 항로 현황(2021)

흑자항로 (38)

적자항로 (55)

 

가오치-사량

갈두-산양

강릉-울릉-독도

계마-안마

구도-고파도

남강-가산

녹동-동송

녹동-신지

녹동-제주

당목-일정

대부-덕적

대천-외연도

도비도-대난지도

모슬포-마라도

목포-가산

목포-상태

목포-율목

목포-홍도/가거도

북강-북강

삼덕-욕지

송공-병풍

쉬미-가사

안흥-가의도

여수-연도

여천-신기

오천-선촌

완도-덕우

완도-모도

완도-소안

웅곡-웅곡

율목-팽목

인천-이작

제주-완도

청산-완도

통영-두미,삼천포

팽목-서거차

하리-서검

향화-낙월

 

격포-위도

군산-개야도

군산-말도

군산-어청도

녹동-거문

녹동-성산

당목-서성

대부-이작

대천-영목

대천-장고도

덕적-울도

도초-목포

땅끝-산양

목포-상태서리

목포-외달

목포-제주

목포-하의

목포-홍도

묵호-울릉-독도

백령-인천

백야-낭도

봉리-재원

부산-제주

부정기

북항-도초

산이수동-마라도

삼덕-국도

삼목-장봉

삼천포-제주

선수-주문

송공-흑산

여수-거문

여수-둔병

여수-함구미

우수영-제주

울릉-독도

이목-당사

이목-어룡

인천-덕적

인천-백령

인천-연평

인천-제주

인천-풍도

일정-당목

저구-소매물도

제주-추자-완도

통영-당금

통영-욕지

통영-추도

통영-한산

팽목-죽도

포항-울릉

포항-울릉-독도

향화-송이

후포-울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