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청와대 경호책임자도 날렸다?
- 감히 날 몰라보고 검문해?
-청와대 경찰관리관ㆍ서울지방경찰청 101단장…2014년초 경질성 인사
-“일선 경찰관이 청와대 들락날락 최 씨 못알아봐 검문해 경질” 의혹
청와대 경호 책임자였던 원경환 청와대 경호실 경찰관리관(경무관)과 김석열 서울지방경찰청 101경비단장(총경)의 2014년 초 갑작스런 경질성 인사에 최순실 씨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박근혜 대통령 집권 초기 청와대를 들락날락하는 최 씨를 일선 경찰관들이 못 알아보고 검문ㆍ검색을 했다는 것이 이유다.
28일 복수의 경찰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청와대 경찰관리관은 통상 2년 안팎의 근무 후 치안감으로 승진해서 나가는 자리다. 101단장 역시 승진이 유력한 자리다.
그러나 근무 1년 2개월만인 2014년 2월24일자로 원 경무관은 인천아시안게임 기획단장으로 발령났다. 101단장 김 총경은 한달 전인 1월19일 정기인사때 민원을 담당하는 서울청 청문감사담당관으로 전보된 상태였다.
이후 원 경무관은 경찰청 교통국장, 서울청 경무부장을 거쳐 경기북부청 차장으로 발령됐다. 김 총경은 경기남부청 화성동부경찰서장으로 발령됐다.
이에 대해 경찰 내부 소식에 밝은 관계자는 “원 경무관과 김 총경의 인사를 보면 이전까지는 경호ㆍ경비 전문가로 경력을 쌓아가고 있었으나 청와대 이후 전공과 상관없는 방향으로 갔다”며 “당시 대통령 경호상 특별한 문제가 알려진 바 없음에도 경찰관리관과 101단장 모두 이런 인사가 났다는 것에 대해 청와대를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최순실 씨를 일선 경찰관들이 못 알아보고 검문검색했다는 것이 이유로 지적됐다”고 했다.
다른 경찰 고위 관계자는 “최 씨의 스타렉스 밴(VAN)인가 에쿠스 차량인가를 101단 직원들이 에스코트를 제대로 못했다는 이유로 (원 경무관ㆍ김 총경이) 경질됐다는 소문에 대해 들은바 있다”며 “그래도 설마 그렇게까지 했겠는가. 모종의 다른 이유가 있지는 않았겠나”라고 했다.
특히 원 경무관은 지난 5월 31일 국무총리실 산하 초대 국가대테러센터장에 임명됐다는 언론보도가 나올 정도로 내부적으론 유력했으나, 막판 최 씨의 입김으로 미끄러졌다는 의혹도 나왔다. 6월 10일 발표된 초대 대테러센터장은 문영기 전 육군 특수전사령부 부사령관 몫이 됐다. 센터장에서 밀려난 원 경무관은 파견 형식으로 대테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다.
문 전 부사령관의 대테러센터장 임명 발표후 내부적으론 “테러 대응은 특수부대의 진압작전이 전부가 아닌데 위에서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원 경무관과 김 총경의 인사에 대해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경비전문가가 경찰청 교통국장, 서울청 경무부장으로 간 것부터 이상하고, 보통 경기북부청 차장은 승진군에 밀려났다고 봐야한다”며 “정황상 청와대에서 삐끗(?)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원 경무관이)경호ㆍ경비 전문가니까 대테러센터장에 내정됐다면 전문성과 초대 대테러센터장으로 상징적 의미가 있는데, 거기서도 밀렸다면 소위 말하는 정치적 힘에 의해 배제되는 그룹으로 속한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고 했다.
이러한 의혹에 대해 경비 업무를 담당하는 현직 경찰간부는 “(101단 관련)의혹이 사실이라면 그동안 각종 집회 시위 현장에서 몸으로 때웠던 경찰관으로서는 참으로 참담한 심정”이라고 했다.
장신중 경찰인권센터장(전 총경)은 “청와대 경호책임자인 경찰관리관과 101경비단장을 한달 사이에 연달아 교체한다는 것은 절대 말이 안된다”며 “최 씨와 101단 관련 의혹에 대해선 진작에 입수해 사실관계를 확인 중인데, 상당부분 믿을 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최 씨가 청와대를 수시로 들락날락했다는 것 역시 상당부분 사실로 밝혀지고 있는바, 정상적으로 출입자를 통제한 경찰관을 쫓아낸 것이 사실이라면 정말 엄청난 국가기강 문란이므로, 끝까지 사실을 확인해 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의혹에 대해 원 경무관은 보도 이후 본지에 “사실 무근의 이야기”라고 해명했다. 김 총경도 “그런 사실이 전혀 없다”고 했다.
의혹이 불거지자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청와대는 경호책임자 경질 의혹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최순실 씨의 출입 기록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