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8월이 더 걱정
- '가정용 누진제' 전기요금 폭탄에 정부 원망 ... 60만원대까지 치솟아
지난 28일까지 한달이 넘게 폭염이 기승을 부리며 대한민국이 뜨겁게 달구어짐으로써 각 가정에 가정용 누진제로 인해서 전기요금 폭탄에 서민들이 직격탄을 맞아 추석을 앞두고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7월분 전기요금 청구서가 발송되기 시작한 건 지난 17일 이후 일주일 동안 전국 2200만 가구 중 1400만 가구가 청구서를 받았는데, 이중 상당수에서 "요금폭탄을 맞았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따라서 주택용 전기요금 청구서에 60만 원대까지 요금이 치솟은 경우가 있었고 30~40만 원대 청구서들도 줄을 이었으며 10만 원으로 선방한 것처럼 보이는 가구도 전 달에 비하면 2~3배 오른 경우가 많았다.
시민들은 이 같은 청구서를 바라보며 "여름 휴가 비용을 전기요금으로 다 써버렸다"거나 "전기요금이 사채이자보다 더 빨리 는다"며 박근혜 정부와 한전을 싸잡아 맹비난했다.
특히 아이 셋을 키우는 명천동에 사는 김모 씨는 "자녀 할인을 받고도 35만 원의 전기요금 폭탄을 맞았다" 하소연 하고 있다.
또한 "벌이 부부라 주말에만 주로 에어컨을 썼다는 죽정동에 사는 이모 씨도 31만 원짜리 청구서를 받아들고 할말을 잃었다" 말했다.
이뿐 아니라 청소에 사는 김모씨는 "자 사는데 30만원의 세금 폭탄을 맞아 도대체 무슨 영문인지 이 나라를 원망하지 않을 수 없다" 전했다.
지난달 시민단체들이 산출한 평균 전기요금은 23만 원으로 정부가 발표한 한시 요금할인제를 적용해도 할인금액은 3만 원 정도에 그치는 수준이다.
하지만 폭염이 가장 기승을 부린 8월 전기사용량은 이번 청구서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시민들은 "앞으로 날아올 고지서가 더 무섭다"고 입을 모으고 있어 추석을 앞둔 시민의 마음은 더욱 무겁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