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전국 발전소·원전 유해물질 방류 조사
- 보령화력본부 방류조사 시 주변지역 어민대표들 참여시켜야
- 보령시는 환경협정 이행사항 시민들에게 수시로 공개
2016-08-11 김윤환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울산발전소 유해물질 배출과 관련해 바닷물을 냉각수로 활용하는 국내 화력발전소 53기, 원자력발전소 24기, 친환경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하는 복합발전소 등을 대상으로 유해물질로 지정된 '다이메틸폴리실록산'을 방류한 사실이 있는지 조사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울산화력발전소는 2011년 1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유해물질인 다이메틸폴리실록산 500t을 냉각수에 섞어 바다에 무단 배출한 혐의를 받고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화력발전소는 대부분 해안에 자리 잡고 있는 발전소로 바닷물을 끌어들여 발전 설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힌 다음 다시 따뜻해진 물(온배수)을 바다로 흘려보낸다.
이 과정에서 온배수가 방출되며 바닷물과 온도 차이 때문에 거품이 생기는데 이를 없애기 위해 주로 다이메틸폴리실록산이 포함된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다이메틸폴리실록산은 해양자원이나 인간의 건강에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배출이 금지된 유해액체물질 'y'류로 분류돼 있다.
이번에 보령화력발전소도 정부 차원에서 다이메틸폴리실록산에 대한 사용 중단을 지시한 이후 사용 했는지 와 이전에도 이 같은 물질을 사용한 적이 있는지를 철저히 조사해야 하며 또한 인근 어민들의 민원이 해소 될 수 있도록 어민대표들도 조사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