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이는 우리말⓫

▷합성어▷외래어▷한자어·일본식한자어▷순우리말 ▷사자성어·고사성어▷은어·비어·속어▷관용구

2025-11-16     김채수 기자

▣외래어

21.차이나

코리아가 고려 시대에 우리 나라를 드나들던 서양 상인들에 의해 붙여진 이름이듯이,차이나도 중국 최초의 통일 국가 진을 가리키는 지나를 영어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중국 본토를 가리키는 영어식 표기다

-부산에 있는 차이나타운에서 중국음식을 먹었다.

22.오재미

많은 사람들이 순우리말로 알고 있는 '오재미'는 콩이나 모래를 집어넣은 '놀이 주머니'를 가리키는 일본말이다

작은 헝겊에 콩이나 모래를 집어넣고 둘러 꿰매 어린이 주먹만 하게 만들어서 던지면서 노는 놀이 도구다. 바꿔 쓸 수 있는 말로는 '모래주머니' '콩주머니' 등이 있다

- 우리 점심시간에 오재미 던지기놀이 하자

-운동회 때 바구니 터뜨리기에 콩주머니가 있어야 한다

23.스끼다시

'곁들이다'는 뜻을 가진 일본어에서 온 말이다

'곁들인 안주'를 가리키는 말인데, '기본 안주'라는 우리말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스끼다시라는 말 대신에 기본 안주라는 말을 쓰는 게 좋지 않을까

14.샌드위치

'샌드위치'는 17세기 경에 실존했던 영국의 백작 이름이다 워낙 노름을 좋아하던 그는 밤을 새고 노름을 하면서도 밥 먹는 시간이 아까워 두 조각의 빵에 버터를 바르고 그 사이에 고기, 야채 등을 끼워 먹었다고 하는데, 여기서 유래한 말이다

간단한 서양식 간이 식사용 빵을 가리킨다.

얇은 두 조각의 빵에 버터나 갖가지 소스를 바르고 그 사이에 햄, 달걀후라이, 좋아하는 야채 등을 식성에 맞게 끼워 넣은 빵을 말한다.

-점심을 샌드위치 때웠더니 허기가 진다

15.수리수리마수리

세간에 엉터리 마술사의 주문이나 장난스런 주문 등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 말은 본래 불교 경전 "천수경"에서 비롯된 것이다 "천수경"은 불가에서 하는 모든 의식에 널리 사용되는 경전으로서 많은 불자가 독송하는 데 쓰는 경전이다

"천수경"의 첫 시작은 '입에서 지은 업을 깨끗하게 씻어 내는 참된 말'로 시작되는데 그 말이 바로 '수리수리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이다

산스크리트어인 이 말의 뜻을 살펴보면 '수리'는 길상존이라는 뜻이고, '마하'는 '크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마하수리'는 대길상존이라는 뜻이 된다.

한편 '수수리'는 '지극하다'의 뜻이고, '사바하'는 원만, 성취의 뜻이다

따라서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의 본뜻은 '길상존이시여 길상존이시여 지극한 길상존이시여 원만, 성취하소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