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관광객 1억 명 시대, 범국민추진위원회 출범

 대한민국 관광산업이 새로운 도약의 시대를 맞이했다. “관광은 지역을 살리는 국가 비전” 보령, 세계 속의 관광 거점으로 거듭나다 관광 모델도시로서 보령의 위상 확고…관광산업으로 지방 소멸을 넘어 미래로

2025-08-25     김채수 기자


 

 

 8월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글로벌관광객 1억 명 시대 범국민추진위원회(GTC) 출범식 및 정책 세미나’가 국회와 지자체, 학계, 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행사는 관광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전략으로 격상시키고, 지방 소멸 문제를 극복할 국가적 해법으로 제시하는 장이 됐다.

 이참 GTC 대표는 개회사에서 “관광은 단순한 산업을 넘어 국민 통합의 문화이자 지역 경제를 살리는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김용진 더불어민주당 관광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지방 소멸의 해법은 관광에 있으며, 특히 여행사와 현장 관광업계가 중심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현희 수석 최고위원은 “지속 가능한 관광 생태계 구축과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제도적·입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며, 김경수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또한 “관광은 대한민국을 골고루 잘 살게 만드는 균형 성장의 해법”이라며 정부와 민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충남을 대표해 참석한 임인식 충남지부장, 윤영배 충남지부 여성위원장(전 보령시의회 사무국장), 박용서·김일태 보령국가유산지킴이 부단장, 이은경 실장, 강성호 박사(재경) 등이 참석해 충남과 보령의 관광 비전을 제시함에 따라.글로벌 관광시대의 전면으로 부상되었다

 보령시는 충남에서 유일하게 지부와 지회를 동시에 운영하며, 글로벌관광객 1억 명 시대에 대응하는 모델도시로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산·들·바다의 풍요로움 속에 고대 고인돌 문화유산과 세계적 머드축제를 아우르는 보령은 충남 관광의 미래를 상징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출범식에서 주목받은 것은 보령을 글로벌 관광의 거점 도시로 이끌고 있는 김동일 보령시장의 선제적 리더십이다.

 보령의 문화유산을 미래 자산으로 확장하고, 머드축제의 세계화를 넘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 소멸 극복까지 연결하는 정책은 GTC 비전과 정확히 맞닿아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GTC 이참 대표는 특별히 보령에 대한 관심과 영감을 표하며 “보령은 대한민국 관광의 미래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교과서”라고 강조했다.

 그는 머드축제와 천혜의 자연환경, 그리고 칼 귀츨라프 선교 유적을 비롯한 보령의 다채로운 역사·문화 자산을 높이 평가하며, 글로벌 관광객 1억 명 시대를 선도할 도시로서 보령의 잠재력을 재조명했다.

 정책 세미나에서는 ▲관광과 스타트업 협력 ▲지방 관광 인프라 확충 ▲관광업계 지원 정책 ▲국내여행 세제 혜택 등 구체적 대안들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서병로 건국대 교수는 기조발제를 통해 “관광은 지방 위기 극복과 균형 발전의 촉매제”라고 강조했다.

보령시는 이번 출범을 계기로 충남은 물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광 모델도시로서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할 전망이다. 머드축제의 세계화, 국가유산과 생태·힐링 관광의 융합, 귀츨라프 유적과 같은 종교·역사 관광의 재발견을 통해 ‘OK 만세보령’은 글로벌 관광객 1억 명 시대를 선도하는 상징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