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교육지원청 국가유산 르네상스 교육으로 미래 비전 제시
보령의 아이들,‘지역의 뿌리에서 세계의 꿈을 키운다!’ 국가유산을 품은 미래형 교육 모델로 주목
보령교육지원청은 2025~2026년 ‘충남 방문의 해’와 보령시 승격 30주년이라는 역사적 시점에, 지역의 뿌리와 정체성을 교육 현장에 심는 ‘르네상스 교육’으로 전국적 관심을 끌고 있다.
한태희 교육장은 “보령의 국가유산은 아이들이 지역을 사랑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힘의 원천”이라며 국가유산을 교육자산으로 활용하는 독창적 정책을 4년째 추진하고 있어, 국가유산과 교육의 융합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교육지원청과 지역사회의 협력이 강화될수록 학생들의 꿈은 더 크게 자란다.”며 “보령의 국가유산은 미래 세대에게 자긍심과 정체성을 심어줄 가장 값진 교육 자원”이라고 강조했다.
보령교육지원청과 보령국가유산지킴이 봉사단(단장임인식)은 ‘자연을 품은 국가유산 환경나들이’‘우리 손으로 지키는 국가유산’등 체험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으며, 올해는 천북중학교를 시작으로 친환경 퍼즐 교구재까지 보급해 학생들의 창의적 학습을 강화했다.
보령국가유산지킴이 봉사단은 학교 교육뿐 아니라 시민 캠페인, 문화유산 보호 활동을 펼치며 학생들이 교실 밖에서도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체험하도록 돕고 있어 학생·학부모·지역사회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교육공동체 모델로 확산되고 있다.
한 교육장은 “충남 방문의 해와 연계해 보령을 대표하는 국가유산 교육 모델을 완성해 전국 교육계에 새로운 길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혀. 보령교육의 비전을 지역에서 세계로 뻗어가는 보령교육의 지향점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그것이 바로 지역의 뿌리에서 세계로 뻗어가는 K-교육 비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령의 아이들은 국가유산을 배우며 지역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동시에 세계와 연결되는 창의적 상상력을 키워가고 있는 것이다.
이번 국가유산 교육은 김동일 보령시장의 철학과 맞물려, 지역 발전의 핵심 축이 되어 교육과 문화의 융합을 실천하는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OK 보령, 문화와 교육이 조화를 이루어야 시민의 행복이 커진다.”는 철학을 강조해 온 김 시장은 “보령의 국가유산을 지켜내고 계승하는 것은 미래 세대에게 가장 값진 자산을 물려주는 일이다”라며 “보령교육의 도전과 혁신이 곧 보령의 미래를 열어가는 원동력”이라고 밝혔다.
보령교육지원청과 보령국가유산지킴이 봉사단의 협력은 보령의 학생들이 K-한류문화와 미래세대 교육의 교차점에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며 글로벌 문화시대에 어울리는 시야를 넓히는데 힘이 될 것이다.
보령교육의 도전과 성취는 오늘날 한국 교육이 지향해야 할 중요한 비전을 제시한다. 그것은 바로 “지역의 보물로 세계의 꿈을 키우는 교육”이다. 보령에서 시작된 르네상스 교육의 물결이 충남을 넘어 대한민국 교육의 새로운 이정표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사진제공 : 박용서 보령국가유산지킴이 부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