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수급조절 농산물 5만 5천여톤 폐기

폐기비용은 102억 3,200만원에 달해 지난해 긴급수입 신선란 폐기비용은 4억 6,800만원 수급조절위원회 2021년 3차례, 2022년 1차례만 열어 어 의원, “보다 정교한 수급예측을 통해 국민 혈세 낭비하지 말아야”

2022-10-11     방덕규 기자

 

 

 

농산물의 수급·가격안정을 목적으로 구매한 농산물의 상당량이 폐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로부터 제출받은 수급조절 품목 폐기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6월 상반기까지 수급조절 목적으로 구매 후 폐기된 농산물은 55,248톤에 달했으며, 폐기비용은 1053,200만원이 소요됐다.

 

연도별 폐기물량을 살펴보면 2017년에는 폐기물량이 없었으며 20182,893, 201914,660, 20209,629, 202116,301, 20226월까지 11,765톤이 처분됐다.

 

품목별로는 양파, 배추, , 마늘 등 4개 품목의 폐기량만 무려 54,254톤에 달했으며 양파 19,584, 배추 14,775, 14,680, 마늘 5,215톤 순으로 높은 수치의 폐기물량을 보였다.

 

한편, 지난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산란계가 대량 살처분되자, 계란 가격안정을 위한 명목으로 긴급수입한 신선란 2,332만개가 폐기됐고, 폐기비용은 46,800여 만원이 소요됐다.

 

문제는 수급조절과 가격안정 목적으로 농산물을 사들였지만 수급조절에는 실패하고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이다. 비축물량으로 사들여도 매년 김장철이 되면 배춧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가장 많이 폐기된 양파의 경우, 올해 초 재고증가와 소비부진으로 가격이 폭락했지만 최근 가격이 폭등하자 8월부터 긴급수입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배추는 생육기간이 짧고, 재배면적, 작황 등에 따라 생산량 변동이 커 연중관리가 필수적이다. 이에 수급조절위원회를 상시적으로 열어 수급안정대책 논의가 진행돼야 하지만, 20213차례, 2022년은 단 1차례 개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 운영규정5조에 따라 긴급한 경우 서면심의 방식으로 할 수 있음에도 위원회를 개최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어기구 의원은국민먹거리가 식탁에 제대로 올려지지도 못하고 국민혈세로 폐기되고 있다면서 작황을 예상하기 어렵다 하더라도 보다 정교한 수급예측으로 소비자의 장바구니 부담을 덜고 농민들이 농산물을 제값에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최근 5년간 수급조절 품목 폐기현황(2018~2022.6)

 

(단위 : , 백만원)

연도

품목

물량

폐기비용

2018

양파

2,893

457

합계

2,893

457

2019

배추

4,608

694

5,626

1,064

양파

4,426

704

합계

14,660

2,462

2020

배추

71

12

313

57

997

202

양파

2,895

506

마늘

4,502

817

감자

851

174

합계

9,629

1,768

2021

배추

8,907

1,977

6,592

1,373

마늘

713

132

참깨

3

2

녹두

86

28

합계

16,301

3,512

2022.6

양파

9,370

1,830

배추

1,189

267

1,152

227

감자

54

9

합계

11,765

2,333

총 합계

55,248

10,532

>

 

연도

품명

수입물량

폐기비용

2021

신선란

2,332

468

< 긴급수입품목 폐기현황(2012~현재) >